전체 글 24

오늘의 생각 - 메타인지

메타인지 관련한 책을 읽었다. 메타인지적 인식으로는 know-what, know-how, know-why, know-where, know-when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내가 아는것과 모르는것을 인지, 어떻게 하는지 절차의 대한 인지와 왜 하는지에 대한 인지 때와 장소 맥락에 대한 인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책에서 말하는것은 AI시대에선 문제해결력이 중요하다. 문제해결을 위한 능력은 메타인지로부터 시작된다 라는 논리로 책의 내용이 이어지는데 개발에서는 코딩 하나하나가 문제를 해결과 연관이 있다. 단편적으로는 심지어 문제해결력을 보기 위해서 사람을 뽑을때 코딩테스트라는 절차도 따로 있는것 처럼.. 이에 개발자도 메타인지에 대해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어떠한 코드를 짤때도 내..

카테고리 없음 2024.02.12

오늘의 생각 - 리팩토링 할 때 마음가짐

기존 컴포넌트를 리팩토링 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 기존에 보이고 있었던 화면이므로 사용자가 보기엔 차이가 없어야 하지만 코드는 새롭게 쓰여진다. 이때 가져야 할 마음가짐으로는 보이는것과 동작하는것에 만족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UI나 기능은 *당연히* 동작 해야 하는것이고 리팩토링을 한다면 현재 팀의 문화에 100% 적합하게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리팩토링을 하면서 코드를 가져와서 기존의 코드가 곳곳에 녹여져 있는 경우가 많을 텐데 이때에도 이 코드가 현재 팀의 코드 스타일과 맞는지, 생각하며 가져와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내가 새로 만들었지만 만들자마자 레거시로 전락하게 된다. 레거시를 리팩토링 하는것인데 새롭게 레거시를 바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여서 리팩토링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버린다. 그리고 만약 ..

오늘의일기 2024.01.31

오늘의 생각 -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할까?

오늘은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내 생각을 써볼까 한다. 아내가 2년동안 열심히 든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다가오니 이 금액을 청년도약계좌와 연계해서 그동안 모아두었던 적금을 바로 청년도약계좌에 넣을 수 있다 라는 소식을 들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동안 납입 해야 하는거고 청년희망적금을 통해 모아둔 금액을 일시납으로 예치 할 수 있겠금 하는 제도가 있다. 70만원씩 납입 하겠다고 한다면 청년희망적금의 예치금인 1260만원을 한번에 납입한다면 18개월치를 납입했다고 인정하겠다는 제도이다. 그래서 처음들었을땐 연계해서 납입한다면 5년이 아니라 3년반으로 기간이 줄어드는것인가? 하고 찾아보니 그건아니고,, 18개월만큼 적금을 안내도 되고 19개월부터 70만원씩 내라는 것이였다. 이렇게 했을때 초기부터 매..

카테고리 없음 2024.01.26

오늘의 생각 - iOS개발자의 커뮤니케이션이란?

오늘은 어제 글을 쓰다가 곁가지로 빠질 뻔 했던 내용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간단히 생각을 정리 하려 한다. 언제 내가 이러한 것들을 까먹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실 지식이 아니라 경험이긴 하지만 이때의 생각들을 적어두면 나중에 다시 봤을때 또 다른 영감과 그때는 다르게 생각할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어서.. 기업들의 채용공고문을 보면 종종 보이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좋은 사람. 이러한 조건을 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조건은 사실 수치적으로 표현을 할 수 없는것이기 때문에 지원자가 저 커뮤니케이션 좋아요~ 이렇게 주장한다면 사실 그것을 검증할 방법이 명확히 있을까? 있을것 같긴 하다. 그들이 제시하는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이고, 그것을 검증할만한 질문들을 마련해 둘 수 는 있겠다. "이런 상황에선 ..

오늘의일기 2024.01.25

오늘의 생각 24.1.24

오늘은 생각이 많아져서 블로그를 이렇게 찾아와서 글을 남긴다. ㅋㅋ 예전에 학생때 글을 쓰던 블로그인데 2년반만에 돌아온것 같다.. 사실 완벽주의 성향이 있어서 완벽주의라 해야하나. 조금더 깔끔하게 조금더 재대로된 글로만 블로그를 다시 단장을 하고 싶어서 깃헙페이지로 블로그를 운영해보려고 시도도 하고 티스토리도 다시만들고 방황의 방황을 했던것 같다. 어느 순간 블로그라는게 내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생각하게 되면서 '아 잘 꾸며 놓고 좋은 글로 채워놔야지' 이런 생각에 쓸 글의 주제를 고심하고 글 하나하나 정성들여 쓰려고 하다보니 (물론 그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시점에 나에겐 벅차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그냥 남들이 볼 수 있지만, 보는것을 크게 생각하지 않고, 생각이 많은 내가 자유롭게 글을 적는 공간..

오늘의일기 2024.01.24

Swift 면접준비 자료구조편

면접에서 중요한 것은 면접관의 질문이 구체적으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횡설수설 하지 않고 핵심을 대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항상 면접관의 의도를 파악하고 핵심을 말하는 연습이 되어 있어야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추가로 면접관이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쉐도우 복싱으로 어떠한 질문이 들어 왔을때 어떻게 간결하게 답변을 하고 만약 핵심키워드가 등장하지 않는다면 이어지는 질문으로 구체적으로 물어보기도 한다. 자료구조 Array Linked List Stack Queue Hash Table Tree Heap Hash Table Q1. HashTable은 무엇인가요? 해시 테이블은 Key, Value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삽입 삭제 검색이 모두 평균적으로 선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자료구조입니다. ..

cs 2021.08.03

[오늘의 일기] 객체지향을 어떻게 더 깊게 공부해야 할까?

객체지향이라는 말 정말 많이 들어봤다. 나도 공부한답시고 글 하나를 포스팅 했지만 과연 이거 하나로 공부가 된것일까? 그것은 아닌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객체지향은 무엇인가 부터 관련된 여러 키워드들 상속, 다형성 뭐.. 캡슐화 추상화.. SOLID란 등등 많은 키워드 들이 있다.. 근데 결국엔 이것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그것을 터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속은 무엇이고.. 다형성은 무엇인지.. 아는것이 무엇이 중요한것인가. 이게 왜 필요하고 어떻게 적용하는지 깨닫는게 먼저라고 생각된다. 그 후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에서 이개념을 어디에서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는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사용하는 프레임원크나 라이브러리들은 정말 훌륭한 개발자들이 만든 코드이다. 따라서 그러..

오늘의일기 2021.08.01

Swift UICollectionView 관철하기2 - align layout

CollectionView 관철하기 2번째 포스팅입니다. CollectionView에 대해 공부하다 보니 글을 쓰면서도 아 이거는 따로 또 써야겠다 싶었던 토픽들을 하나씩 다룰 예정입니다 😃 이번에는 Layout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데요, 이번에는 조금 실제로 구현을 해보며 Layout을 알아가려 합니다. CollectionView는 Flow Layout을 사용하잖아요, 이 layout이 한줄을 쫙 채우죠? 이런식으로 한줄을 넘어갈때는 그 줄을 꽉 채우고 넘어가게 됩니다. 이게 의도할 수도 있지만 보통 Cell간에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보기에 이뻐 보이지 않습니다. 보통 Tag들을 표현할때는 아래 사진과 같이 왼쪽으로 정렬해서 표현합니다. 더 가지런해 보이고 정돈되어 보이죠 ㅎㅎ 이것을 ..

Swift/UIKit 2021.07.31

Swift UICollectionView 관철하기 - 개요

애플 공식문서를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사실 CollectionView를 많이 사용해왔지만 재대로 공식문서를 읽어본적이 없는 것 같아 스스로도 조금 충격을 받았습니다.. ㅎㅎ 여러분들도 안읽어 보셨다면 읽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당..! 아참 관철하다라는 의미는 어려움을 뚫고 나아가 목적을 기어이 이루다 라는 뜻과 사물을 속속들이 꽤뚫어보다 라는 의미를 갖고 있어요 😃 개발자로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덕목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저의 좌우명으로 삼았답니당😅 📘Apple Document CollectionView는 여러 객체들이 협력해서 화면을 그려냅니다. 대표적으로 DataSource Delegate Layout 이 세가지의 객체들과 협력하는데요, 각각 담당하는 일이 명확히 구별 되어 있습니다. 사실 iOS를 공..

Swift/UIKit 2021.07.30

Swift CoreData Image 저장하기

CoreData의 많은 자료형을 저장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숫자 문자 날짜 자료형 외에 BinaryData를 저장 할 수 있는데요 이 자료형을 통해 Image를 저장 할 수 있습니다. CoreData는 100KB미만의 바이너리 데이터까지는 데이터 베이스 안에서 효울적으로 관리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이 되는 크기는 외부에서 관리 하는게 더 효율적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Image를 저장 해보겠습니다. 제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모델입니다. 여러 속성들이 있지만 image라는 속성은 Binary Data 속성으로 되어있습니다. 이 속성을 눌러보면 왼쪽 인스펙터의 여러가지 옵션을 걸어줄 수 있는데요 여기서 Allow External Storage라는 속성을 체크 해야합니다. 위에서 말씀 드렸다 시피 코..

카테고리 없음 2021.07.23